アロマテラピー(フランス語: aromathérapie)は、 ((Wikipedia에서 발췌함)
花や木など植物に由来する芳香成分(精油)を用いて、心身の健康や美容を増進する技術もしくは行為のこと。 また、お香やフレグランス・キャンドルも含め、生活に自然の香りを取り入れてストレスを解消したり心身をリラックスさせることも含めて呼ぶ場合も多い。
아로마 테라피 (프랑스어 : aromathérapie, 英語: aromatheapy)
꽃이나 나무 등 식물에서 유래한 방향성분(정유精油)을 이용하여 심신의 건강이나 미용을 증진하는 기술 또는 행위를 말한다.
또한, 향 및 향료, 촛불을 비롯한 생활에 자연의 향기를 도입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신을 편안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여 부르는 경우도 많다.
아로마 테라피(aromatherapy)
目次 |
목차 |
語源 어원
アロマテラピーという言葉は、20世紀に入ってからフランスの科学者ルネ・モーリス・ガットフォセによって作られた造語で、アロマは芳香、テラピーは療法を意味するフランス語である。これを英語で発音するとアロマセラピーとなる。 「アロマトテラピー」と「ト」が入る表記について、「芳香療法」意味する単語として文法的語源的には正しい。
아로마 테라피라는 용어는 20 세기에 들어와서 프랑스 과학자 르네 모리스 갓토호세 의해 만들어진 신조어로, 아로마는 방향(향수), 테라피는 치료를 의미하는 프랑스어이다. 이것을 영어로 발음하면 아로마 테라피가 된다. "아로마와 테라피"이며 "와"가 들어가는 표r "방향 요법" 의미하는 단어로 문법적인 어원으로 맞다.
歴史 역사
芳香植物の利用は古代にさかのぼるが、アロマテラピーそのものが提唱されたのは20世紀に入ってからである。また日本への紹介は1980年代以降である。
방향식물의 이용은 고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로마 테라피 자체가 제창된 것은 20 세기에 들어와서이다. 또 일본에 소개는 1980 년대 이후이다.
芳香植物の利用 방향식물의 이용
人類は洋の東西を問わず、植物の芳香を祭祀・儀礼・治療・美容に用いてきた。エジプトでミイラ作りに防腐効果のある乳香(フランキンセンス)や没薬(ミルラ)などの植物由来の香料が用いられていたのは有名な例である。芳香植物の利用は世界の各地域で独自に発展し、近代医学が発達する以前の人間の健康を担ってきた。今でもそれらは、伝統医学や民間療法として受け継がれている。
인류는 동서양을 불문하고, 식물의 향수를 제사 의례 치료 * 미용 에 이용해왔다. 이집트에서 미라 만들기에 방부 효과가있는 유향(乳香,Frankincense)과 몰약(没薬미르) 등의 식물 유래의 향료가 사용되었다는 유명한 예가 있다. 향기로운 식물의 이용은 세계 각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하고 현대 의학이 발달하기 이전의 인류 건강을 맡아왔다. 지금도 그들은 전통의학 이나 민간요법 으로 이어지고있다.
中世ヨーロッパでは、芳香植物の栽培と利用はもっぱら修道院の仕事であり、植物成分を水や植物油・アルコールに浸出して用いた。一方、イスラム圏ではアラビア医学が発達し、イブン・シーナー(980年頃-1037年頃)は蒸留による精油の製法を確立し医学に応用した。これはアロマテラピーの原型とも考えられている。このアラビア医学は十字軍の遠征などを契機に徐々に西欧にも伝わっていった。
ルネサンス時代には香水が大流行し、精油の生産量が増大した。19世紀にはいると合成香料が出現し、また植物から有効成分だけを抽出して薬剤として用いるようになった。
중세 유럽에서는 방향식물의 재배와 이용은 전적으로 수도원의 일이고, 식물 성분을 물과 식물성 기름 알코올에 침출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이슬람권에서는 아랍의학이 발달하였고, 이븐시나(980년경 -1037년경)는 증류하는 정유 제조법을 확립, 의학에 응용했다. 이것은 아로마테라피의 원형이라고도 생각된다.
이 아랍 의학은 십자군 원정 등을 계기로 점차 서유럽에 전해져 갔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향수가 대유행하고, 정유 생산량이 증가했다.
19세기에 이르러 합성향료가 출현하며, 또한 식물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약제로 사용하게 되었다.
アロマテラピーの提唱 아로마테라피의 제창
20世紀初頭、科学的な分析・検証の上で精油を心身の健康に応用しようという試みが始まった。1920年代初頭、南フランスのプロバンス地方において、香料の研究者であったルネ・モーリス・ガットフォセ(1881年-1950年)は実験中に手に火傷を負い、とっさに手近にあったラベンダー精油に手を浸したところ[1]傷の治りが目ざましく良かったことから、精油の医療方面での利用を研究し始めた。彼は1928年に研究の成果を学会で発表し、また『芳香療法(原題Aromatherapy)』という本を出版した。
20 세기초, 과학적인 분석 검증에서 정유를 심신의 건강에 응용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다. 1920 년대 초, 프랑스 남부 프로방스 지역에서 향료 연구자인 르네모리스갓토호세(1881년 -1950년)는 실험 중에 손에 화상을 입었고, 즉시 가까이에 있던 라벤더정유에 손을 담그자 상처의 치유가 눈에 띄게 좋아져서 정유를 의료방면으로 이용하려는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1928 년 연구 성과를 학회에서 발표했으며
'방향요법 (원제 Aromatherapy ) '라는 책을 발간했다.
フランスの医学博士ジャン・バルネ(1920年- )は精油を使った医療を実践して功績をあげ、1964年に『ジャン・バルネ博士の植物=芳香療法』を著し(1984年改訂版発行)、アロマテラピーの認知度を上げた。他方、ガットフォセの弟子であるマルグリット・モーリー(オーストリア生まれ、?-1963年)は、アロマテラピーを主に美容方面に活用できる技術として研究し、イギリスに伝えた。
このため、現在のアロマテラピーには大きく分けてフランス系とイギリス系の二つの流れがあり、フランス系のアロマテラピーは医師の指導のもと精油を内服するなど、医療分野で活用されている。イギリス系のアロマテラピーはアロマセラピストと呼ばれる専門家によって施されるなど、医療とは区別され、心身のリラックスやスキンケアに活用されている。
프랑스의 의학 박사 쟝바루네(1920 -)는 정유를 사용한 치료를 실천하고 공적을 올리고, 1964 년 '쟝 바루네 박사의 식물 = 방향 요법'을 저술 (1984 년 개정판 발행), 아로마 테라피의 인지도를 높였다. 한편, 갓토호세의 제자인 마게릿 Molly (오스트리아 태생? -1963 년)는 아로마 테라피를 주로 미용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연구하고, 영국에 전했다.
이로서 현재 아로마 테라피는 크게 나누어 프랑스계와 영국계 두 흐름이 있고, 프랑스계의 아로마 테라피는 의사의 지도에 따라 정유를 복용하는 등 의료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영국계의 아로마 테라피는 아로마 테라피스트라는 전문가에 의해 실시되는 등 의료와 구별되어 심신의 휴식과 피부 관리에 활용되고 있다.
日本のアロマテラピー 일본의 아로마테라피
精油の蒸留法は江戸時代に伝わり蘭医学などで用いられていた。明治時代にはニホンハッカなどの精油を輸出していた時期もあったが、合成香料や海外の廉価品におされ、廃れてしまった。
정유의 증류법은 에도 시대에 전해져 란의학(네덜란드 의학) 등에서 사용되었다. 메이지 시대에는 일본박카(薄荷) 등의 정유를 수출하고 있었던 시기도 있었지만, 합성 향료와 해외의 저가 제품에 밀려, 쓸모 없게 되어 버렸다.
1970年代に、小学生やその親たちの間でポプリ(en)が流行し、ドライハーブへの関心が高まった。アロマテラピーが紹介されたのは1980年代で、はじめジャン・バルネやロバート・ティスランドらによる英仏の専門書が高山林太郎氏により邦訳され、やがて海外で技術を学んだ者たちが国内で実践を始めた。1990年代にエステブームなどに乗って広まったこともあり、日本に伝わったアロマテラピーの方法はイギリス系に近いものであるが、近年では国内でも精油への科学的アプローチが進み、代替医療としてアロマテラピーに関心を寄せる医療関係者も増えている。
Potpourri
1970 년대에 초등 학생과 부모들 사이에서 포푸리(Potpourri)가 유행하고 드라이 허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아로마 테라피가 소개된 것은 1980 년대로 처음 쟝 바루네와 로버트 티스란도에 의한 영국 프랑스의 전문 서적이 高山林太郎(다까야마하야시타로)씨에 의해 번역되고, 곧 해외에서 기술을 배운 사람들이 국내에서 실천하기 시작했다. 1990 년대 에스테열풍 등을 타고 넓게 퍼지게 된 경우도 있고, 일본에 전해진 아로마 방법은 영국계에 가까운 것이지만,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정유에 과학적 접근이 진행되어, 대체의학으로 아로마 테라피에 관심을 기울이는 의료 관계자도 늘고 있다.
2006年頃からバラの香りをかつてない程に再現した、本物のバラの精油よりも大幅に安価な合成香料が開発され、それを添加したガムやドロップが製品が流行し汗がバラの香りと言われて男女間で話題になり、「香り・アロマ」への関心が大衆の間でさらに高まる。
2006 년경부터 장미의 향기를 어느 정도로 재현했다. 진정한 장미정유보다 훨씬 싼 합성향료가 개발되고, 그것을 첨가한 껌이나 드롭(사탕)의 제품이 유행하여
“땀이 장미의 향기”라고 말하여져, 남녀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향기・아로마"에 대한 관심이 대중 사이에서 더 높아진다.
アロマテラピーのしくみ 아로마테라피 방식
アロマテラピーの主役である精油が心身に働きかける経路は二つある。ひとつは嗅覚刺激、もうひとつは皮膚や粘膜を通して血流に乗り体内に入る経路である。しかし精油は数十から数百の揮発性有機物の混合物であり経口毒性があるなど、ひとつひとつの成分がどのように身体へ影響するのかを追跡するのは容易ではない。
아로마테라피의 주역인 정유가 심신에 움직이는 경로는 두가지다. 하나는 후각 자극, 또 하나는 피부와 점막을 통해 혈류를 타고 체내에 들어가는 경로이다. 그러나 정유는 수십에서 수백가지 휘발성 유기물의 혼합물이며 경구독성이 있는 등, 하나하나의 성분이 어떻게 신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추적하는 것은 쉽지 않다.
精油の嗅覚刺激 정유의 후각 자극
蒸散した精油の芳香成分は鼻で感知され、嗅覚刺激として大脳辺縁系に到達する(嗅覚の詳しいシステムについては嗅覚の項を参照)。ここで重要なのは、嗅覚をつかさどる部位が、脳の中でも本能的な部分である旧皮質に存在することである。脳は嗅覚刺激を受け取ると無意識のうちに情動を引き起こし、視床下部に影響を与える。視床下部は身体機能の調整を行う中枢であるため、匂いは本能的に身体諸器官の反応を引き起こす鍵となりうる。
증산하는 정유 향수 성분은 코에 감지되고 후각 자극으로 대뇌변연계에 도달(후각의 자세한 시스템은 후각 단원 참조). 여기서 중요한 것은 후각을 관장하는 부위가 뇌 속에서도 본능적인 부분인 구 외피에 존재하는 것이다. 뇌는 후각 자극을 받으면 무의식적으로 정동(情動, 情緖)을 일으키는 원인이고, 시상하부(視床下部)에 영향을 미친다. 시상하부는 신체 기능을 조정하는 중추이기 때문에 냄새는 본능적으로 신체 여러 기관의 반응을 일으키는 열쇠가 될 수 있다.
精油の香りによって得られる安心感・快感・緊張感・覚醒感・瞑想感などにともなう情動が、心身のバランスを促すことが期待される。
정유의 향기가 제공하는 안심감, 쾌감, 긴장감, 각성감, 명상감 등에 따른 정동(情動, 情緖)가 심신의 균형을 고무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精油が血流に乗る経路 [編集]
芳香成分が血流にいたるまでには様々なルートが考えられる。吸収された成分は、最終的にはほとんどが肝臓や腎臓で代謝され、尿とともに排泄される。
방향 성분이 혈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로를 생각할 수 있다. 흡수된 성분은 결국 대부분 간과 신장에서 대사되고 소변과 함께 배설된다.
吸収ルートは大別すると次の4つである。
1.ボディトリートメントなどによって、皮膚から真皮の毛細血管に至るルート。
2.呼吸により、鼻から喉・気管支・肺にとどく間に粘膜に吸着し、粘膜下の血管に入るルート。3.呼吸により肺胞でのガス交換時に酸素とともに血流に乗るルート。
4.経口で口から小腸に至る消化管から吸収されるルート(坐剤として肛門や膣の粘膜から吸収させる例もある)。
흡수 경로는 크게 나누면 다음 4 가지이다.
1. 바디 등을 통해 피부에서 진피의 모세 혈관에 이르는 경로.
2. 호흡에 의해 코로 목구멍, 기관지, 폐에 이르는 사이, 점막에 흡착하여 점막의 혈관으로 들어가는 경로.
3. 호흡에 의해 폐포에서의 가스 교환시 산소와 함께 혈류를 타고 경로.
4. 경구로 입에서 소장에 이르는 소화관 에서 흡수되는 경로
(좌제로서 항문이나 질 점막에서 흡수하는 경우도 있음).
皮膚は多層構造になっており、皮膚に吸収された芳香物質の血管への到達は極めて緩慢である。呼吸器からの吸収はこれよりも早いが、空気中の芳香物質の濃度を考えれば吸収されるのは微量と思われる。皮膚や呼吸を通して吸収されるルートに比べ、消化管での吸収は非常に急激で多量である。消化管の粘膜に対する強い刺激が予想され、また異物である精油成分の血中濃度が急速に高まるため、代謝系に大きな負担がかかる恐れがある。強酸である胃酸による成分の変性の可能性も捨てきれない。このため、精油の経口もしくは坐剤による使用は、十分に知識のある医師の判断のもとで行われるべきである。
피부는 다층구조로 되어 있으며, 피부에 흡수되는 방향 물질의 혈관에 도달 매우 게으르다. 호흡 흡수는 더 빠르지만, 공기 중의 방향 물질의 농도를 생각하면 흡수되는 것은 미량이라고 생각된다. 피부와 호흡을 통해 흡수되는 경로에 비해 소화관에서 흡수는 매우 급격히 다량이다. 소화관의 점막에 강한 자극이 예상되고, 또한 이물질인 정유성분의 혈중 농도가 급속히 증가하므로, 대사계에 큰 부담을 끼칠 우려가 있다. 강산인 위산에 의해 성분의 변성 가능성도 간과 할 수 없다. 따라서 정유의 경구 혹은 좌제에 의한 사용은 충분히 알고 있는 의사의 판단 하에 진행 되어야 한다.
精油の体内での作用 정유의 체내에서의 작용
精油の成分の構成や有効成分・毒性のレベルなどの解明は近年かなり進んできているが、個々の成分が体内で何を引き起こしているのかについては、分子生物学レベルの研究が待たれる。ここでは、伝統的な植物療法から推測される精油の働きについて述べるにとどめる。
정유 성분의 구성과 유효 성분, 독성의 레벨 등의 해명은 최근 상당히 진행되어오고 있지만, 개별 성분이 체내에서 무엇을 일으키는 지에 대해서는 분자생물학 수준의 연구가 기다려진다. 여기에서는 전통적인 식물요법 으로 짐작되는 정유의 기능에 대해 서술하는데 이르른다.
1. 生体組織への直接的な関与 생체 조직에 직접적인 관여
例:ローマン・カモミールの(筋肉などの)鎮痙作用、ローズマリーの血行促進作用、
ラベンダーの止血作用、など
예 :로만, 카모마일의 (근육 등의) 진경 작용, 로즈마리의 혈행 촉진 작용,
라벤더의 지혈 작용 등
카모마일 꽃 로즈마리 라벤더
2. 防御システムを助ける働き 방어 시스템을 돕는다
例:ティートリーの抗菌作用、フランキンセンスの免疫強化作用、ユーカリの去痰作用、など
예 : 티트리의 항균작용, 후란킨센스의 면역강화 작용, 유칼리나무의 거담작용
티트리 乳香 Frankincense 유카리 나무
3. 代謝を助ける働き 신진 대사를 돕는다.
例:ジュニパーの利尿作用、グレープフルーツのリンパ系刺激作用、など
예 : 주니퍼의 이뇨 작용, 자몽의 림프계 자극작용 등
4. 心身のバランスへの関与 심신의 균형에 관여
例:クラリセージのエストロゲン様作用、ペパーミントの三半規管の調整作用、
ネロリの抗不安作用、など
예 ; 쿠라리세이지의 에스트로겐 작용, 페파민트의 삼반규관(반고리관) 조정작용, 네로리의 항 불안 작용 등
주니퍼 자몽 크라리세이지 페파민트 네로리
なおこれらの作用はそれぞれの精油の働きの一端に過ぎない。精油はそれぞれに様々な性格をもち、組み合わせることによりさらに多様な作用を見せる場合もある。また、経口毒性があるため、用法を誤ればかえって心身に害をもたらすので注意が必要である。
또한 이러한 작용은 각 정유의 움직임의 일부에 불과하다.
정유는 각각 다양한 성격을 갖고, 결합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작용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또한 경구 독성이 있으므로, 사용을 잘못하면 오히려 심신에 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精油の皮膚への作用 정유의 피부에의 작용
1. 収れん作用(アストリンゼント作用) 수렴 작용 (아스트린젠트 작용)
例:イランイラン、サイプレス、サンダルウッド(白檀)、ジュニパー、フランキンセンス(乳香)、
예 : 일랑일랑, 사이프러스 , 샌달우드(백단), 주니퍼, 후란킨센스(유향),
로즈옷토, 로즈마리 등
일랑일랑 사이프러스 샌달우드(백단)
쥬니퍼 유향(프랑킨센스) 로즈옷토 로즈마리
2. 保湿作用(モイスチャー作用) 보습 작용 (모이스처 작용)
例: エリモント作用(皮膚をやわらかくする働き) 例:ベンゾイン(安息香)など
예 : 에리몬토 작용 (피부를 부드럽게하는 작용) 예 : 벤조인(안식향)등
精油を使用するときの主な注意点
1.絶対に原液を直接飲んだり、直接肌につけたりしてはいけない。飲用について、欧米では医師の指導のもとで服用する場合もあるが、黄色人種は白色人種よりも腸が長いため精油の影響を非常に強く受けてしまうため服用は危険であると言われている。ただし、ラベンダーとティートリーについては例外的に少量を皮膚につけても大丈夫とされることもある(日本アロマ環境協会においては、推奨されていない)。
2.目、目のまわり、唇、その他粘膜質の部分には希釈したものでも使用してはいけない。
3.体質や精油の成分によっては肌に強い刺激を受けたり、アレルギーを起こす場合があるため、肌に使用する際は使用前にパッチテストを行う。
4.3歳以下の乳幼児へは、芳香浴以外の使用、例えばマッサージ、お風呂用(沐浴)などの使用法は避ける。
젝심상사
B.정유를 사용할 때의 주요 고려 사항
1. 절대로 원액을 직접 마시거나 직접 피부에 닿게 하거나 하지 말라.
음용에 대해 서양에서 의사의 지도하에 복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황색 인종 은 백인종 보다 창자가 길기 때문에, 정유의 영향을 아주 강하게 받기 때문에 복용은 위험하다고 말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라벤더 와 티 트리 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적은 양을 피부에 닿아도 괜찮다고 하기도 한다(일본 아로마 환경 협회에서는 권장되지 않는다).
2. 눈, 눈 주위, 입술, 기타 점막 질 부분에 희석한 것도 이용하지 말라.
3. 체질과 정유 성분은 피부에 강한 자극을 받거나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부에 사용할 때는 사용하기 전에 패치테스트를 실시한다.
4. 3세 이하의 유아에게는 방향목욕 이외에 사용, 예를 들면 마사지나 목욕 용(목욕)등에 사용은 피한다.
5.日光、温度、湿度、酸素などの影響を受けやすいため、遮光性のあるガラス瓶に保存する。保管場所は直射日光が当たらない冷暗所にする。
6.精油の瓶が倒れていると精油の成分が瓶のふたを腐食させるおそれがあるため、精油の瓶は立てて保管する。
7.プラスチックや家具の塗装、人工大理石を溶かす作用があるので注意する。
8.小動物のいる部屋で精油を焚く場合は換気に注意する。
9.引火性があるため火気に注意する。
10.保存期間は柑橘系が約半年、それ以外が約1年となっており、この期間を目安に使い切るようにする。期間内であっても精油の色や香りに異変を感じたら使用を中止する。
5. 햇빛, 온도, 습도, 산소 등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6. 정유 단지가 쓰러져 있으면 정유성분이 병 뚜껑을 부식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정유 단지는 세워서 보관한다.
7. 플라스틱이나 가구의 도장, 인조 대리석을 녹이는 작용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8. 작은 동물이 있는 방에서 정유를 태우는 경우에는 환기에 주의한다.
9. 인화성이 있으므로 화기에 주의한다.
10. 보존 기간은 감귤류가 약 반년, 그외에는 약 1년이며,이 기간을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기간 내에라도 정유의 색깔과 향기에 이변을 느끼는 경우 사용을 중지한다.
젝심상사
'Aroma. Aroma와 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피어나, 젤러시 (0) | 2011.02.13 |
---|---|
5. 법률적 관계 (0) | 2011.02.13 |
4. 정유(精油)란... (0) | 2011.02.13 |
3. 주요 정유(精油) (0) | 2011.02.12 |
2. 주의사항 (0) | 2011.02.12 |